배당 ETF SCHD 총정리
미국 배당주 투자의 주플리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배당 성장주를 특정 기준으로 선별하여 투자하는
SCHD ETF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CHD 완벽 분석
SCHD 개요
SCHD는 찰스 슈왑 (Charles Schwab) 운용사에서 관리하는 배당 성장 ETF 입니다.
해당 ETF는 다우존스 US 배당 100 Index를 추종하는 ETF로 찰스 슈왑 내 유능한 펀드 매니저들에 의해 직접 운영됩니다.
- 운용 수수료 : 0.06%
포스팅하는 현 시점 기준 SCHD의 분배율(배당률)은 3.93%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은행 관련주의 위기와 금리 추가 인상 이슈, 경기 침체 등의 리스크로 ETF 가격이 하락하면서 배당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경향이 있습니다. 매수하기에 적절한 배당률이라 할 수 있겠죠??
SCHD 연도별 성과
기본적으로 다우존스 US 배당 100 Index를 추종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Index와 비교시에 거의 동일한 변동률 및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직전년도 대비 성과 막대 그래프를 보면 2013년 이후로 3번의 소폭 하락을 제외하면 대부분 성장세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10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4.5% 수준으로 안정적이고 높은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SCHD 포트폴리오
SCHD의 포트폴리오를 살펴보면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주식 99.95% 투자 (나머지는 달러와 같은 현금성 자산 보유 및 투자)
- 리츠를 제외한 총 10개의 섹터에 투자
- 금융 19.02% / 기술주 18.04% / 소비재 14.34% / 헬스 11.1% -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포트폴리오 중 42.14% 차지
SCHD 종목 선정 기준 및 방법
- 리츠 종목 제외
- 10년 연속 배당 성장한 기업 중 상위 50% 종목들 우선 선정
- 안정적인 채무 상황 (낮은 부채) / 안정적인 수익 창출 능력 (ROE) / 배당률 / 배당성장률 기반 순위 선정
- 시총 가중치 적용하여 순위 재선정
- 한개 섹터 비중 최대 25% 이하 적용하여 개별 종목 가중치 선정
SCHD vs 3대 지수
최근 5년간 SCHD와 미국 3대 지수들의 성과를 비교했을 시 S&P500과 가장 유사한 변동률을 가지며 우상향 해온 것으로 파악됩니다. 5년 전에 비하면 39.93% Price가 상승하였습니다.
변동성 면에서는 나스닥이 가장 컸으며, 성장률 면에서는 다우존스 지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봤을 때, S&P 500을 추종하는 ETF들과 비교했을 시 뒤쳐지지 않는 퍼포먼스를 냈다고 볼 수 있으며,
여기에 높은 수준의 배당과 배당성장률까지 보여줌으로서 더욱 높은 투자 매력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 차트는 SCHD와 자주 비교되는 주요 ETF들과의 성장세를 비교한 그래프 입니다.
5년 동안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여준 것은 VIG 44.24% 입니다.
SCHD는 39.93%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으며, 나머지 ETF들도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 차트만 보면 사실상 성장률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으며,
그외 운용 수수료와 배당률(분배율)을 바탕으로 본인에게 맞는 ETF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참고로 VIG는 운용 수수료는 동일하나 현 기준 배당률이 2.3%수준으로 SCHD 3.93%에 비하면 더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SCHD 투자가 더 매력적인 상황 입니다.
SCHD는 어떤 투자자에게 적합?!
- 개별 종목 투자하기엔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하는 투자자
- 여러개 종목을 분산 투자하고 싶지만 시드머니가 작은 투자자
- 낮은 운용 수수료로 S&P500 지수만큼의 수익률을 내고 싶은 투자자
- 전문가의 기술적 분석을 바탕으로 배당 성장주 투자 List를 주기적으로 리밸런싱하며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
- Low-risk & High-return & High-Dividend를 꿈꾸는 투자자
'미국 주식 > 미국 ETF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방어 투자 ETF | 고배당 월배당 SCHP (0) | 2023.04.08 |
---|---|
JEPI 월배당 ETF 하나로 하락장 투자 끝내기 | 미국 고배당 투자 | 커버드콜 Active ETF (1) | 2023.03.19 |
채권 ETF AGG vs BND 완벽 비교 분석 | 미국 채권 투자 (0) | 202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