퀄컴 QCOM 완벽 재무제표 분석
미국 배당 주식 투자로 은퇴를 꿈꾸는
주플리 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이번 편에서는
글로벌 대표 팹리스 반도체 기업
퀄컴 [티커: QCOM]
10년치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얼마나 재무가 탄탄한 기업인지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퀄컴 재무제표 분석
2023.01.18 - [미국 기업 분석] - 퀄컴 QCOM 완벽 기업 분석 1부 | 미국 배당주 투자
퀄컴 QCOM 완벽 기업 분석 1부 | 미국 배당주 투자
퀄컴 QCOM 완벽 기업 분석 미국 배당주 투자의 주플리 입니다:) 오늘 기업 Pick은 미국 반도체 업계 배당 성장주이자 글로벌 대표 팹리스 업체 퀄컴 [티커: QCOM] 입니다 미국의 대표 통신 반도체 전
dreamofdividend.tistory.com
참고로 퀄컴은 회계연도 마감이 9월로
7~9월이 4분기 입니다
미국은 주마다 회계연도 정의가 다를 수 있고
기업도 마찬가지 입니다
아래 연도별 재무 정보는
2022년 9월 기준 회계 정산 정보를
2021년으로 표기하여
1. 퀄컴 매출 / 순이익 / 마진률
퀄컴의 매출 규모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매출 규모는 약 440억달러
한화로 약 54조 규모로
전세계 반도체 기업(팹리스/파운드리 포함) 중
매출 규모로 6위를 차지할만큼
엄청난 매출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2020년까지만해도 약 절반 수준인
25조 내외 매출 규모였는데
반도체 분야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약 2배 정도의 매출 성장을 단기간에
이뤄냈습니다
파운드리가 아닌 팹리스 업체로서
이정도의 매출 규모는
어마어마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순이익의 경우도
2019년 이후 2배 이상 성장하여
마진률이 30%대에 육박하는
엄청난 순이익 창출 능력을
보여주고 있는 기업입니다
하지만 2017-2018년 사이
매출과 순이익이 급락하여
적자 사태까지 빠지기도 했습니다
해당 시기에는 바로 미국 시총 1위인
Apple(애플)과의 특허 소송과
사업적 협력 파기로 인해
매출이 급감하는 사태가 있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4 모델부터 퀄컴의 모뎀 칩을
사용해왔지만 IP 라이센싱 비용(로열티)가
지나치게 과하고 독과점의 문제가 있다고
소송을 제기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퀄컴에서 인텔로 협력사를
변경했고, 퀄컴의 매출은 급감하였습니다
당시 애플의 의존도가 매출의 30~40%로
굉장히 높았던 퀄컴은
애플과의 이별로 적자 기업이라는
위기에 빠지기도 했지만
2019년 애플이 소송을 취하하며
다시 퀄컴과 손을 잡고
퀄컴 통신용 모뎀 칩 공급 계약을
맺어 다시 협력사가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지지부진했던 퀄컴의 매출은
다시 회복을 하여 단번에 과거 수준까지
회복을 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 외에도 아시아 국가 / 유럽 국가 / EU 등
여러 곳으로 부터 독과점 소송에 휘말리며
대규모 소송건에 휘말렸던 퀄컴이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소송에서 승소하며
반도체 팹리스 업체로서의 입지를
더욱 탄탄하게 굳히고 있습니다
2. 발행 주식수
퀄컴의 발행 주식수는
지속적으로 우하향하며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이라는
주주친화 정책을 펼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배당성장주 이지만 이렇게
자사주 매입까지 하는 기업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겠습니다
심지어 애플과의 관계가 깨지며
적자인 상황 속에서도
자사주 매입을 진행한 점은
높이 평가할 부분 입니다
3. EPS
퀄컴의 주당 순이익은
약 10달러 수준의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순이익 적자였던 순간을 제외한다면
8~11 달러 사이를 유지하며
성공적인 성장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제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4. ROE / ROI
ROE와 ROI 수치는 2018년 재무상태가
매우 불안정해지면서
정상적인 10년치 변화를 살펴보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수치로 본다면
2019년 이후 ROE는
70~90 수준으로 매우 높은편이며
ROI 또한 20~40 수준으로
영업 능력 수치도 굉장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2018년에 애플 사태가 없었고
평균 수준을 유지했다고 가정한다면
다음과 같은 수준의 변화 흐름을
보였을 것으로 추측 됩니다
5. 자산 / 자본 / 부채
퀄컴의 자산 규모는 2018년 적자일 때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었지만
그 이후 매출 증가로 인한 자본 상승으로
자산도 약 1.7배 이상의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도체 호황기에 접어들며
부채의 수준은 그대로지만
자본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재무 상태가 점차 개선되고 있어
긍정적인 신호라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부채 비율은 약 170% 수준으로
약간 높은 편이지만
자본 상승력을 감안한다면
점차 더 개선이 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퀄컴이
팹리스 기업인 점을 감안했을 때
파운드리 업체처럼 공장 / 시설 투자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더 부채 비율이 감소해야
마땅한 기업이라 생각합니다
6. 배당
마지막으로 퀄컴의 배당 정보를
살펴보겠습니다
퀄컴은 대표적인 배당 성장주로서
지난 10년간 꾸준히 배당을
성장시켜온 기업입니다
10년간 연평균 배당 성장률은 12.45%로
배당 성장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호황기를 누리며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여
현재 배당률은 2.5% 수준입니다
저가 매수 타이밍이라고 볼 수 없는
주가가 형성되어 있지만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여전히 높은 배당 성장률을 보이는
매력적인 기업입니다
퀄컴 QCOM 종합 의견
지금까지 퀄컴의 사업 분석과
10년간의 주요 재무지표를 살펴보며
분석을 마쳤습니다
퀄컴은 앞으로 5G 시대와
자율주행 시대를 이끄는
반도체 대표 선두 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유망합니다
팹리스 업체이기에 높은 마진률을
자랑하고 있고
특허 로열티도 높은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어 기술적 해자도
누리고 있는 기업 입니다
리스크로서는
독과점 소송
협력사와의 계약 해지
국가별 반도체 규제
등 굵직한 이해 관계 및 정치적 관계에서
오는 큰 위험 요소들이 있습니다
현 주가가 매우 매력적이라고
할 수는 없는 수준이지만
장기 투자 관점에서는
배당 성장 / 자사주 매입 이라는
부분을 높이 평가하여
투자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매력적인 기업임은 틀림 없습니다
'미국 주식 > 미국 기업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SMC TSM 완벽 재무 분석 2부 | 미국 배당주 투자 (0) | 2023.02.03 |
---|---|
TSMC TSM 완벽 기업 분석 1부 | 미국 배당주 투자 (1) | 2023.01.28 |
퀄컴 QCOM 완벽 기업 분석 1부 | 미국 배당주 투자 (0) | 2023.01.18 |
홈디포 HD 완벽 재무제표 분석 | 미국 배당주 투자 (0) | 2023.01.09 |
홈디포 HD 완벽 기업 분석 1부 | 미국 배당주 투자 (0) | 2023.01.08 |